본문 바로가기
은퇴 준비

비상금은 비상사태에 쓰는 게 아니다 비정기적 생활비와 노후에 필요한 목돈

by 미민 라이프디자이너 2024. 2. 3.
반응형

여러분 가계부 작성하고 계세요?

 


저는 20살 전까지 부모님과 함께 살다가
대학교를 다른 지역으로 가게 돼서
그때 처음으로 가계부 적기를 시작했어요
 
부모님께 용돈 받아 대학생활을 했기 때문에
한정된 예산 안에서 생활하기 위해서였죠
 
덕분에 지금은 제가 한 달에
어느 정도의 금액으로 생활이 가능한지 알고 있고
환경이 바뀌면 거기에 맞춰 어떤 부분을 조정해야 하는지
쉽게 파악할 수 있게 됐어요

 

 

 

 

가계부 작성은 기본 세팅

 

노후 준비를 위해서는 내 생활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돈과

소비습관을 미리 알아야하고

그래서 가계부 작성이 중요하답니다
 
 


 

 

가계부 항목 분류 


보통 가계부 항목은 크게 3가지로 분류할 수 있는데요
바로 고정비, 변동비, 비정기적 생활비에요

 

 

고정비는 매달 같은 돈이 나가는 거고
변동비는 항목은 같지만 매달 다른 금액의 돈이 나가는 거죠

 

여기까지는 잘 아실텐데
은퇴 설계를 위해서는 특히 비정기적 생활비를 알아봐야해요

 

대부분 사람들이 비정기적 생활비의 중요성을 간과하는 이유가

이 항목들을 분류해보는 작업을 해보지 않았기 때문이에요

 

 


그렇다면 비정기적 생활비는 뭘 포함하는 걸까요?
 

 

 

 

비정기적 생활비 항목 


1. 건강

병원, 약국, 예방 · 검진
 


2. 자기계발

도서, 수강 · 공부, 운동

 

 
3. 여행

국내, 해외, 여행용품


 

4. 경조사

가족, 친척, 동료, 친구
 

 

5. 기타

세금, 기부, 소모품,

수리(주거 통신 자동차 수리비 등)
 
 

 


 
사람마다 비정기적 생활비의 항목과 비중이 다를 순 있는데요
저의 경우는 여행과 경조사 비용으로 가장 많이 사용해요
 
비정기적 생활비는 비상금 통장에 따로 관리하고 있고
경험상 연 300만원 정도는 항상 필요했어요

 

 

 

 

위 항목들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비상금이라는 이름 때문에 필요한 금액이 적을 거 같지만

사실 그렇지 않아요

 

비정기적 생활비를 구체화 해본 적이 없고

비상금의 목적과 용도를 인지하지 못했기 때문에

막연하게 드는 생각인 거죠

언제 얼마나 쓸지 몰라서 비상금인거지 용도는 모두 정해져 있답니다

 

금액만 보면 고정비 변동비 만큼이나 크게 들어가는 돈이 많아서

비정기적 생활비 점검 후

약간의 목돈을 만들어 두는 게 꼭 필요해요

 

 

 

 

예를 들어 2~30대의 경우 의료비보다 경조사비가 더 많이 들지만

60대 이상 연령대에서는 의료비가 더 필요하겠죠

 

 

연령대별 생애주기에 맞춰

나에게 해당하는 항목에 대한 비상금을 계산해본 후

예산 정하는 걸 추천드려요
 
  
 


 

비정기적 생활비(비상금) 만드는 방법

 

작성한 가계부를 기반으로 대략적인 연 필요 비용을 계산해 보세요

일반적으로 노후 생활비는 은퇴 전의 70%로 책정한다고 해요
 
수입이 없는 상태에서 목돈을 만드는 게 어려울 수 있지만
고정지출 비용을 줄이면 불가능한 것도 아니에요
 
노후 고정비를 줄이기 위한 방법으로는
대출 상환이나 보험 완납등의 방법이 있으니

이 부분을 점검해 볼 필요도 있어요

 

 

30% 정도 소비를 줄여야 한다는 뜻도 되니
은퇴 전 소비 습관을 제대로 잡아둬야할 필요가 있겠죠?
 
평소 생활하던 것의 70%만 소비한다는 목표를 세우고
예산에 맞게 생활을 변화시키다 보면

가장 먼저 지출을 줄이게 되는 부분이 있을 거에요

 

나에게 덜 중요한 순서로 지출을 줄이게 될 거고

내가 낭비하고 있었던 지출을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됩니다

그 돈을 비상금으로 쌓아두며

꼭 필요할 때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거죠

 

이 과정은 한번에 되지 않기 때문에

꼭 은퇴 전부터 습관을 만들어 두셔야 해요

 

 

 

 


 

 

 

 

저는 연초에 비상금을

아예 통으로 떼어놓고 필요할 때마다 사용해요

 

필요한 비용을 한 번에 마련하기 부담스럽고

연금으로 나눠 사용해야하는 상황이라면

 

월마다 수입(연금 등)의 10%정도를 1년 동안 적금해서 모은 후

그 비용을 다음 해에 사용하는 것도 보조 대안이 될 수 있어요

다만 이 경우 첫 해에는 뭉친 돈이 조금 있어야 되겠죠


언제 얼마나 나갈지 모르기 때문에

통으로 묶어두고 사용할 수 있다면 가장 좋아요

 

 

 

 

스위스 인터라켄 레스토랑에서, 브런치 즐기는 어르신들

 

 

 

 

저도 노후에 필요한 비상금은

어느 정도가 적당할지 또는 필요할지

계산해보려고 하는데요

 

수입이 없는데 목돈이 필요한 상황이 오면

정말 난처할 것 같아요

 

여행은 안 가면 그만이지만

병원비는 그렇지 않잖아요

 

 

개념과 상황을 명확히 인지해야

중요성을 알고 실행하고 계획을 세울 수 있어요

 

늦지 않았고 할 수 있어요

지금부터 고민한 걸 잘했다고 생각할 때가 올거에요

 

 

 

✨걱정 없는 은퇴 생활을 위해 하나씩 준비해봐요✨

반응형